목록분류 전체보기 (37)
hiris
해당 문제는 삼성에서 제일 많이 사용된다고 한다. 뭔가 풀어보면 노가다 + 이렇게 해야하나.. ? 하는 느낌이 생긴다 .. 여기서 제일 중요한 건 방향키에 대한 리스트 설정 및,, 뱀의 꼬리가 차지하는 부분을 1로 한다는 것이 제일 관점 포인트인 것 같다. 문제는 다음과 같다. https://www.acmicpc.net/problem/3190 문제 해결방안 로직은 다음과 같이 생각했다. 1. 먼저 그래프를 0으로 채워준다. 2. 사과 위치는 모두 2로 채워준다.3. 앞으로 뱀이 차지하고 있는 부분은 1로 채워줄 것이다.4. 방향 전환을 맞춰 L 또는 D를 한다.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n = int(input())m = int(input())graph = [[0] * n..

EKS란 ? 쿠버네티스를 배포하면 클러스터를 얻는다. 이 클러스터는 노드들의 집합이다. 노드들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어 진다. 각각 컨트롤 플레인과 데이터 플레인이다. 컨트롤 플레인 : 워커 노드와 클러스터 내 파드를 관리하고 제어 데이터 플레인 : 워커 노드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Kubernets Objects 쿠버네티스 오브젝트는 바라는 상태 (desired state)를 담은 레코드로 오브젝트를 생성하면 쿠버네티스의 컨트롤 플레인에서 오브젝트의 현재 상태와 바라는 상태를 일치시키기 위해 끈임없이 관리한다. Amazon EKS EKS는 쿠버네티스를 쉽게 실행할 수 있는 관리형 서비스로 EKS를 사용하면 AWS 환경에서 Kubernetes 컨트롤 플레인 또는 노드를..

이번에 개발로 NCP 활용하여 Ngnix로 프론트앤드(React) 배포와 백엔드(Fast api) 배포를 진행한다. 먼저 프론트 앤드부터 설명하자면 react 는 nginx가 필요하다 .nginx/nginx.conf 파일을 만들어 생성을 해준다. # react-dockerizing/nginx/nginx.confserver { listen 80; access_log /var/log/nginx/access.log; error_log /var/log/nginx/error.log; location / { # root를 /usr/share/nginx/html 을 바라보게 했으므로(Dockerfile 참고) # 해당 경로 아래에 배포해주면 됨 roo..

* JWT 동작 방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 로그인을 진행을 한뒤 JWT 토큰으로 유효성 검사를 2차로 진행을 한다. 1. 일반 토큰 기반 vs 클레임 토큰 기반 - JWT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클레임 토큰 기반 인증이 주는 편리함이 크기 때문이다. 일반 토큰 기반 : 기존에 주로 사용하던 일반 토큰 기반 인증은 토큰을 검증할 때 필요한 관련 정보들을 서버에 저장을 해두었기 때문에 항상 DB에 접근을 해야만 했다.=> 하지만 클레임 토큰 기반으로 변하면서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모든 정보들을 JWT 토큰에 담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인증서가 필요가 없다. 2. JWT의구조는 다음과 같다 .[header].[payload].[signature] [Header] : 2가지 정보가 포함된다. ( ..

이번에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로그인 파트를 맡게 됐다. (왜지)간단한 작업이라 생각을 했고 호기롭게 시작했지만 .. 은근 오래걸려 이거에 대해 정리 하는 시간을 가지려고 한다. 무엇보다 코딩이 지금 너무 오랜만이라 애 좀 먹었다 .. ## 프론트 Lpgin.js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import { View, Text, TextInput, TouchableOpacity, StyleSheet, Alert, SafeAreaView, Image,} from "react-native";import axios from "axios";export default function Login({ navigation }) { const [usernam..
# react-native 활용하여 카카오 로그인 구축하기 이번에 로그인 파트를 담당을 해서 다음과 같이 진행하게 됐다. ( 왜 로그인 하겠다고 나서서 ... ) 일단 첫번째로 모듈을 다 설치 및 설정을 해줘야 한다. 1. @react-native-seoul/kakao-login 설치npm install @react-native-seoul/kakao-login 2. Native Module 설정 (Android) android/build.gradle 파일을 열고 다음을 추가한다. allprojects { repositories { maven { url 'https://devrepo.kakao.com/nexus/content/groups/public/' } }} android/..